경량 몰탈은 geopolymeric 몰탈 제조과정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원료는 고로슬래그와 플라이 애시의 혼합물인 지오폴리머 바인더와 경량골재, 반응 용액은 Na2O/SiO2 몰비 0.5인 것을 이용하였다. 경량골재의 선정은 다양한 경량골재를 단독 혹은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결과를 확인한 후, 이를 다시 경량성을 만족하는 방향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40 MPa의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발휘하는 조성을 찾는 방향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경량골재는 가장 많이 알려진 인공 펄라이트, 화산재, 천연펄라이트와 D사의 bottom ash를 이용하였다. 먼저 몰탈 규격 조건에 준하여 경량성 비교를 위한standard를 제조하였다. Standard는 지오폴리머 몰탈의 기본조성으로 하였다.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를 건식 혼합하여 지오폴리머 바인더를 제조하고, 여기에 주문진의 표준사를 건조상태로 투입하고 이를 건식으로 혼합하였다. 혼합된 원료에 반응용액을 넣어 슬러리화 하여 다시 혼합 하였다. 혼 합된 슬러리는 50x50x50 mm 큐브몰드에 넣고 진동을 주면서 충진 성형하였다.
몰드채로 양생기에서 50℃로 8시간 양생한 후 탈형하고 1, 3, 7일의 재령까지 30℃에서 자연양생하였다. 경량 geopolymeric 몰탈의 제조는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되, 표준사, 펄라이트, 화산석, Bottom ash의 배합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몰탈을 제조하였다. 각각 펄라이트, 화산석, bottom ash를 단독으로 GP와 부피비를 1:1로 배합하여 각 시편을 제조하였다. Bottom ash는 다른 원료들과 다르게 무게가 많이 나가는 점을 고려하여 무게비율 1:1을 추가하였다. 또한 화산석 + bottom ash, 화산석 + 표준사의 비율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시편을 제조하였다. 또한 L/S의 값의 변화는 화산석, 펄라이트, 표준사의 흡수율이 다양하기 때문에 원료차이에 따른 것이다. 또한 칭량된 무게가 일정하지 않은 것도 사용되는 경량골재의 비중이 다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부피비로 산정하고, 무게비로 산정하는 등의 차이를 통하여 경량성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경량 geopolymeric 몰탈의 제조조건은 아래 표와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