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생태산업단지구축 세부사업을 통해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fly ash와 소각재를 활용하여 위 그림과 같이 고부가가치의 친환경소재를 생산기술 모델을 확립하여 생태산업단지 구축 네트워크 사업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로부터 환경적, 경제적 및 사회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동종분야에서 생태산업단지 조성에 이바지할것으로 사료된다.
환경적 효과
- 반월·시화 산업단지내에서 발생되는 fly ash 약 50,000 ton/year를 친환경 소재로 재활용 가능하며 신기술 적용의 신개념 친환경 소재개발이 가능함
- 대기오염 절감효과 : 시멘트 생산시 발생되는 CO2 가스 감소
- 폐기물을 자원으로써 순환 : 2차 환경오염 감소
- 환경보전 및 경제성장 실현 : 에너지 절약이 가능함
- 친환경적 변화 : 시멘트 대체 제품으로 친환경 제품의 요구 제안
경제적 효과
- 산업적 측면에 있어서도 폐자원으로 분류되어 해양투기 및 매립 처리됨으로서 발생되었던 경제적 손실을 해소할 수 있며, 플라이애쉬를 재활용시 반월시화 산업단지내 산업체의 처리비용 중 연간 약 55억 원을 절약할 수 있음
- Fly ash를 Geopolymer의 원료로 사용할 경우 원료의 자원화 이윤창출
- 개발하고자 하는 몰탈, 벽돌 소재는 적용 대상 소재인 플라이애쉬와 활성필러로 구분되는 slag 및 실리카품, Metakaolin 등을 사용하며, 시멘트와 마찬가지로 낮은 온도(상온포함)에서 반응하는 것이 가능하고, 시멘트에 비하여단기강도가 매우 우수하며, 내화학성 및 내약품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음
- 기술개발을 통한 원천기술의 해외수출 등으로 국가 경쟁력을 향상
기타 효과
- 시멘트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발전소로부터 발생되는 플라이애쉬를 이용한 무기결합재 개발 및 이를 활용한 2차 제품(몰탈, 벽돌)은 미개척 분야임
- 시멘트 사용분야(국내 산업 및 기타 시설물)에 적용할 경우, 기술적 응용 분야는 상당히 많은 것으로 판단되며, 플라이애쉬를 이용한 신소재 및 재료개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 신개념의 Geopolymer Technique를 활용한 친환경 소재 개발은 제조기술에 대한 Know-how 습득, 사용원료에 대한 체계적인 처리방법, 배합방법, 성형 방법 및 양생방법 등의 제조방법 개발을 통하여 최적의 제조조건을 확립할 수 있음
- 생태하천 복원에 있어서 법면녹화 및 하천블럭 등 수요처의 요구사항에 맞게 맞춤형으로 제품을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음
- 지역 맞춤형 신기술확보를 통하여 geopolymer 바인더의 수출형 산업구조로 변화
- Fly ash의 매립량 감소로 인한 매립부지의 수명연장
- Fly ash를 활용한 Geopolymer 소재개발 및 시멘트와 같은 상온에서 무기결합재를 제조함으로써 저에너지로 생산성을 증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