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멀티스크러버를 활용한 백연제거 및 오일회수
본 연구에 적용하고자하는 기술로서 이는 기존의 방지시설의 개념을 탈피하여 세정탑과 화이버베드 필터를 연계하는 하이브리드 방지시설인 “멀티스크러버”이다.
본 멀티스크러버는 그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3단계의 흐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에 Horizontal Scrubber(Cross-Flow Scrubber, CFS), 2단계 OilFume Filter(Oil Filter), 3단계 Oil/Water Separator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는 텐터기에서 발생되는 흄의 액적을 증대시키고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터가 장착된 소규모 스크러버이며, 2단계는 외형은 캔들필터 형태이지만 1단계에서 증대된 액적을 더욱 거대입자로 만들어서 중력의 영향을 받아 흐름을 조성하기 위한 다층의 원기둥형 필터모듈이 여러개 장착되어 있는데 기상유체가 액상유체로 전환되는 과정으로서 필터모듈의 아래쪽으로 흐름이 형성되어 모이게 된다. 그리고 3단계는 2단계에서 모여진 폐액들을 오일과 폐수로 분리하는 유수분리기이다. 유수분리를 통하여 회수된 오일은 별도의 탱크에 모아서 재생유로 재활용하고, 폐수는 1단계 스크러버에 재이용함으로써 폐수무배출 시스템이다.
즉, 텐터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일미스트는 광산란에 의하여 백연으로 보이게 되는데, 이때에 스크러버에 의하여 액적이 큰 것은 중력에 의하여 하부로 떨어지지만 1 μm이하의 고체입자 에어로졸을 브라운운동에 의하여 수분과 오일미스트로 형성된 백연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Brownian motion을 근거로 액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백연의 근원을 제거함과 동시에 유수분리기를 통하여 오일을 회수하여 재활용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을 생태산업단지구축을 위한 세부사업의 일환으로 “멀티스크러버”를 선정하게 된 배경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