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생태산업단지구축 세부사업을 통해 수행기관(주관기관, 참여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 경제적 및 사회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동종분야에서 생태산업단지 조성에 기준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사업화 네트워크를 확립할 수 있다.
환경적 효과
악취저감 및 민원발생 해소
복합악취의 원인이 되고 있는 텐터공정의 백연 및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제조시설의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심미적 환경요소로 인한 민원발생을 해소
백연 및 악취 제거로 대기환경 개선
시흥·안산 스마트허브내에서 186개 tenter시설의 방지시설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용량은 약 56,000 CMM으로 회수가능한 오일은 약 1,800 ton/year으로 산업단지내 청정대기환경을 형성
회수오일의 자원재활용
텐터공정에서 발생하는 백연을 제거함과 동시에 백연에 함유되어 있던 오일을 재생유로 재활용함으로써 산업단지내 폐기물을 재활용 자원으로 순환
폐수처리장 부하량 저감
“멀티스크러버”에서 발생하는 폐수는 유수분리 후 재활용 할 수 있지만, 발생하는 폐수는 방지시설의 순환수로 재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대량 발생하던 폐수의 양을 약 90%이상 줄일 수 있음
경제적 효과
오일회수 CO2저감비용(염색 업종 온실가스비용 수익)
염색1개사 : 약 46만원/년(31.8 TCO2/year* 14,500원/TCO2)
염색전체 : 약 83백만원/년(5,724 TcO/year* 14,500원/TCO2)
오일 소각처리비용(회수된 오일 미재활용시 소각처리 소요비용)
염색1개사 : 약 3백만원/년(10 ton/year*300,000원/ton) 염색전체 : 약 5억4천만원/년(1,800 ton/year*300,000원/ton)
오일 원료화(염색업종 재활용 수익)
(재생유 업체 수거단가의 50%반영 : 200,000원/ton)
염색1개사 : 약 2백만원/년(10 ton’year*200,000원/ton)
염색전체 : 약 3억6천만원/년(1,800 ton/year*200,000원/ton)
재생유 판매수익
(재생유 판매단가 : 500,000원/ton, B-C유의 약 80% 수익)
염색 1개사 : 약 7백만원/년(10 ton/year*700,000원/ton)
염색전체 : 약 12억 6천만원/년(1,800 ton/year*700,000원/ton)
사회적 한계비용
(염색업종 잠재적 수익, 수도권기준:약 304백만원/톤)
염색 1개사 : 약 30억4천만원/년(10 ton/year*304,000,000원/ton) 염색전체 : 약 5,472억 원/년(1,800 ton’year*304,000,000원/ton)
공업용수 절감(세정수 순환시 절감비용, 염색업종 수익)
염색 1개사 : 약 10만원/년(105 ㎡/year*950원/㎡) 염색전체 : 약 1,862만원/년(19,600 ㎡/year*950원/㎡)
기타 효과
- 염색업종의 공장내 작업환경 개선효과로 제품의 생산성 향상을 기대
- 염색업종의 대표적 악취발생공정인 텐타시설 배출가스에 대한 연구 개발을 통해 “멀티스크러버”가 기존 스크러버를 대체하도록 함으로써 시흥스마트허브의 고질적 악취 민원을 해결하고, 오일미스트에 의한 주택 외벽의 오염에 따른 환경개선 비용을 저감하고, 청정산업단지 이미지 구축
- 염색업종 텐타시설의 악취개선을 위한 확대 보급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동반 향상 프로그램을 확립하여 상생의 기반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