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멀티스크러버의 핵심기술인 <그림 6-21>의 유수분리장치는 오일필터로부터 발생하는 폐수를 통과시키면서 오일과 물로 분리하는 장치이며, 유수분리장치에 별도의 투명튜브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오일회수 정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유수분리기의 압력이 약 2kgdcm로 작동될 때 오일회수량은 약 1.25 L/hr(약 30 L/day)로 회수되었으며, 텐터운전시 원단의 종류 및 유수분리기의 압력조절에 따라 오일은 약 1~13 L/hr까지 회수량이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수된 오일의 물성분석은 석유관리원에 의뢰하여 분석하여 나타내었다. 오일의 물성분석 결과, 발열량은 10,574 kcal/kg으로 경유 8,476 kcalL, 보일러등유 8,356 kcal/L, B-C 9,203 kcal/L 등의 발열량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회수된 오일의 재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회수오일의 인화점은 약 160℃로서 정제연료유 기준 40℃보다 높으며, 회분(기준 1.0%이하)과 황분(기준 2.5%이하)은 각각 0.649%, 0.11%로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Cd(1 mg/kgu|4), Pb(3 mg/kg), As(1 mg/kgu|), Cr(1 mg/kg), Hg(불검출) 등의 금속분도 기준에 부합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Oil Filter로부터 발생되는 폐수는 전량 Oil/Water Separator로 이송되어 유수분리 후 물은 Cross Flow Scrubber로 순환되며, 기름은 탱크에 모아서 재활용하게 된다. 유수분리기의 용량으로부터 회수되는 기름의 양을 제외한 후 순환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Cross Flow Scrubber에서 폐수처리되는 양은 없으며, 세정수는 증발량을 고려하여 보충하는 용도로 주입되게 된다.
멀티스크러버시스템(Multi-Scrubber System)의 인입구와 배출구에 설치된 계측기로 실측한 데이터를 통하여 <그림 6-22>와 같이 물질수지 및 에너지수지를 계산하였다. 멀티스크러버에 사용된 소재별 거칠기, 열전달 등 물성에 대한 자료는 물질수지와 에너지수지 분석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환경부 산하 한강유역환경청에 A 염색업체의 폐기물배출자 등록 후 C 재생유업체와 수거 후 재활용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네트워크 사업화를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