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수입 자동차 브랜드의 소비가치와 수입 자동차 브랜드에 대한 고급감 간의 관계에 관한 본 연구의 가설을 검 증하기 위하여 특히 브랜드 파워가 강한 수입자동차 브랜드 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연구를 시도하고자 한다. 따라서 2007 년 한국 소비자들에게 가장 많이 구매된 수입자동차 브랜드 중 변함없이 선호되고 있는 BMW, Lexus, Mercedes Benz와 최근 젊은 소비자층에게 특히 선호도가 높은 Honda와 Audi 등 TOP5 브랜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최선형 (2001)은 ‘소득수준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명품에 대 한 관심도 높아질 것이다’라는 우리의 일반적인 추측을 검증 한 바 있다. 또한 Ziccardi (2001)는 럭셔리제품 소비영역의 소비자들을 4가지의 부문으로나누어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첫 번째는 밀레니엄 부자인데, 이 카테고리는 밀레니엄(20 세기 말)에 즈음하여 돈을 축적한 사람들을 통칭하는 것으로써, 유명인사, 스포츠 스타 그리고 인터넷 사업을 통해 부자가 된 사람들이 이 영역에 속한다고 할 수 있겠다. 두 번째는 오래 된 부자를 꼽을 수 있는데, 이들은 유산을 상속받은 전통적인 부자로서 사실상 직업을 갖지 않은 경우도 있다. 세 번째는 신흥부자인데, 스스로의 힘으로 부자가 된 사람들을 일컫는다. 네 번째는 중간 계층인데, 이 카테고리는 돈에 대해 신중한 중산층으로써, 상식적인 소비자들이며, 전문직이거나 주소득이 월급인사람들이다.
4가지 그룹은 경제 상황이 좋으면 분명히 럭셔리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들이다. 그렇다면, 명품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가지고 있는 수입자동차 브랜드의 주요 구매고객도 이러한 소 비자들일 것이라 수월하게 추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도 수입 자동차 브랜드는 물론 국산 자동차 브랜 드의 효과적인 마케팅커뮤니케이션 기획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네 번째 유형인 중간계층 소비자들의 인식탐구에 집중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중산층 중 특히 전문직 종사자 중심의 소비자의 인식을 탐구하고자 하는데 집중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변호사, 의사, 공인회계사, 교수 등 전문직 종사자 189명과 은행원, 대기업 사원 등 62명의 고소득 일반직 종사자를 포함한 251명에게 설문지를 배포, 수거, 분석 하여 연구 대상 선정의타당성과 고유성을 담보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2008년 9월 1일부터 10월 24일까지 약 두 달에 걸쳐 27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53부를 회수하고 25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